심명철학(心命哲學) 중(中) 통변론(通變論) 목차
|
|
제1편 변화편(變化編) |
|
서언(序言) - 이 세상에 변(變)하고 화(化)하지 않는 존재는 없다. |
19 |
철학과 과학이 만났을 때 |
20 |
◆ 철학적 통변으로 입증된 공산주의 흥망사 |
21 |
◆ 현대 유전공학의 모체(母體), 5운(運) 6기(氣)론 |
23 |
◆ 인체속에 생체시계가 있다. |
25 |
◆ 양자(量子) 컴퓨터와 태극의 진리 |
26 |
◆ 쪼개고 또 쪼개도 남는 것은 입자(粒子)뿐 |
27 |
◆ 암(癌)환자 사주(四柱)에 공통점이 있다. |
30 |
◆ 재운(財運)강한 사람 소득이 높더라. |
31 |
◆ 미국 대선서 부시당선 승율(勝率)까지 적중 화재(話題)
일본 도쿄TV 특별기획 '仰天! 韓流 힘의 秘密' 출연
|
32 |
○ 경이(驚異)로운 한류(韓流)파워의 비밀 |
32 |
○ 대한민국의 NO1. 점사(占師)
|
33 |
○ 공산정권붕괴와 김일성(金日成) 사망 적중
|
34 |
○ 박정희 퇴진권유 정주영 출마만류
|
35 |
○ 도쿄TV 출연 때 부시 당선발표
|
36 |
○ 타고난 철인 小泉 일본수상
|
37 |
○ 거역할 수 없는 역사의 순환법칙
|
37 |
|
|
1. 변화론(變化論) |
39 |
2. 십신통변(十神通變)의 출원(出源) |
39 |
3. 하도낙서(河圖洛書)의 출원과 십신통변 |
40 |
4. 심명철학 서두(序頭)와 하도낙서 |
41 |
5. 우주본체와 하도낙서의 출원 |
41 |
가. 우주본체도 |
42 |
나. 우주변화와 십신(十神)성립 체계도 |
43 |
6. 십신성립의 체계도 설명 |
44 |
가. 주체(主體)의 능동적 인력작용 - 정재(正財) 편재(偏財) |
44 |
나. 주체의 능동적 추력작용 - 상관(傷官) 식신(食神) |
45 |
다. 객체의 수동적 인력작용 - 정관(正官) 칠살(七殺) |
45 |
라. 객체의 수동적 추력작용 - 정인(正印) 편인(偏印) |
46 |
마. 주체와 동격인 동류(同類)와의 분화작용
- 비견(比肩) 겁재(劫財)
|
46 |
7. 십신(十神)의 속성(屬性)과 작용표 |
48 |
8. 각종 신살(神煞) 해설표 |
50 |
|
|
제2편 인원사사(人元司事)와 십신통변 |
|
1. 지기장 천운과 인원사사 |
57 |
2. 지기장 인원사사 천운배속도 |
58 |
3. 지기장 인원사사 천운도 설명 |
58 |
4. 오행 생극 제화 |
60 |
5. 지기통변 인원사사 법칙과 예시 |
62 |
가. 甲일주에 戊戌土의 경우 |
63 |
나. 甲일주에 己未土의 경우 |
63 |
|
|
제1장 비견(比肩)
|
64
|
1. 비견론(일명 비중(比衆)) |
64
|
가. 비견의 원리론 |
64 |
나. 비견과 사회참여(민주주의) |
65 |
다. 비견과 인간성 |
66 |
라. 비견과 자비(사랑) |
67 |
마. 비견과 시대성 |
68 |
2. 비견의 특성 |
68 |
3. 비견의 배속 |
69 |
가. 인사(人事) |
69 |
나. 사물(事物) |
70 |
다. 행위(行爲) |
70 |
라. 학문(學問) |
70 |
마. 명위(命位) |
70 |
바. 인체(人體) |
71 |
4. 비견과 주역 괘상(卦象; 비괘 比卦) |
71 |
5. 비견의 작용과 통변 |
72 |
가. 비견(比肩) : 비견(比肩) |
72 |
나. 비견(比肩) : 겁재(劫財) |
76 |
다. 비견(比肩) : 식신(食神) |
81 |
라. 비견(比肩) : 상관(傷官) |
86 |
마. 비견(比肩) : 편재(偏財) |
90 |
바. 비견(比肩) : 정재(正財) |
95 |
사. 비견(比肩) : 칠살(七殺) |
99 |
아. 비견(比肩) : 정관(正官) |
104 |
자. 비견(比肩) : 효신(梟神) |
110 |
차. 비견(比肩) : 인수(印綏) |
115 |
- 응변(應變)의 예(例)
|
|
제2장 겁재(劫財) |
121 |
1. 겁재론 |
121 |
가. 원리론 |
121 |
나. 겁재와 강포성(强暴性) |
122 |
다. 겁재와 사회참여 |
123 |
2. 겁재의 특성 |
124 |
3. 겁재의 배속(양인살羊刃殺, 제왕지기帝旺之氣) |
125 |
가. 인사 |
125 |
나. 사물 |
125 |
다. 행위 |
126 |
라. 학과 |
126 |
마. 명위 |
126 |
바. 인체와 질병 |
127 |
4. 겁재와 주역괘상 |
127 |
5. 겁재의 통변상 기본원리 |
127 |
가. 겁재 탈재(奪財) |
128 |
나. 겁재 모관(侮官) |
128 |
다. 겁재 화살(化殺) |
128 |
라. 겁재 대설(代洩) |
128 |
마. 겁재 분수(分綏) |
128 |
바. 겁재 성군(成群) |
128 |
6. 겁재의 작용과 통변 |
128 |
가. 겁재(劫財) : 비견(比肩) |
128 |
나. 겁재(劫財) : 겁재(劫財) |
133 |
다. 겁재(劫財) : 식신(食神) |
138 |
라. 겁재(劫財) : 상관(傷官) |
143 |
마. 겁재(劫財) : 편재(偏財) |
147 |
바. 겁재(劫財) : 정재(正財) |
153 |
사. 겁재(劫財) : 칠살(七殺) |
158 |
아. 겁재(劫財) : 정관(正官) |
162 |
자. 겁재(劫財) : 효신(梟神) |
167 |
차. 겁재(劫財) : 인수(印綏) |
172 |
- 응변(應變)의 예(例)
|
|
제3장 식신(食神) |
178 |
1. 식신론 |
178 |
가. 원리론 |
178 |
나. 식신과 강포성(强暴性)
|
179 |
다. 식신과 사회참여
|
180 |
2. 식신의 특성 |
181 |
3. 식신의 배속 |
182 |
가. 인사(人事)
|
182 |
나. 인체(人體)
|
182 |
다. 사물(事物)
|
182 |
라. 학문(學文)
|
182 |
마. 행위(行爲)
|
183 |
바. 명위(命位)
|
183 |
사.인체와 질병
|
184 |
4. 식신과 주역괘상의 수천수괘(水天需卦) |
185 |
5. 식신의 통변상 기본원리 |
185 |
가. 식신생재(食神生財)
|
185 |
나. 식신제살(食神制殺)
|
185 |
다. 식신합관(食神合官)
|
185 |
라. 식신효봉지해(食神逢梟之害)
|
185 |
마. 식신비생지리(食神比生之理)
|
185 |
바. 식상혼탈지해(食傷混奪之害)
|
185 |
사. 식신겁생지조(食神劫生之助)
|
185 |
아. 식신우인지희(食神遇印之喜)
|
185 |
자. 양봉식신탈기지우(兩逢食神奪氣之憂)
|
185 |
6. 식신의 작용과 통변 |
185 |
가. 식신(食神) : 비견(比肩)
|
185 |
나. 식신(食神) : 겁재(劫財)
|
190 |
다. 식신(食神) : 식신(食神)
|
196 |
라. 식신(食神) : 상관(傷官)
|
201 |
마. 식신(食神) : 편재(偏財)
|
206 |
바. 식신(食神) : 정재(正財)
|
211 |
사. 식신(食神) : 칠살(七殺)
|
216 |
아. 식신(食神) : 정관(正官)
|
221 |
자. 식신(食神) : 효신(梟神)
|
226 |
차. 식신(食神) : 인수(印綏)
|
231 |
- 응변(應變)의 예(例)
|
|
제4장 상관(傷官) |
237 |
1. 상관론 (탈기론脫氣論, 파관성破官星, 설기신洩氣神) |
237 |
가. 원리론 |
237 |
2. 상관의 특성 |
239 |
3. 상관의 배속 |
240 |
가. 인사(人事)
|
240 |
나. 인체(人體)
|
240 |
다. 사물(事物)
|
241 |
라. 학문(學文)
|
241 |
마. 행위(行爲)
|
242 |
바. 명위(命位)
|
242 |
사.인체와 질병
|
243 |
4. 상관과 주역괘상 |
244 |
5. 상관의 통변상 기본원리 |
244 |
가. 상관생재(傷官生財)
|
244 |
나. 상관용인(傷官用印)
|
244 |
다. 상관 극관지화(剋官之禍)
|
244 |
라. 상관견살지재앙(傷官見殺之災殃)
|
244 |
마. 중중상관 양상관지탈진(重重傷官 兩傷官之脫盡)
|
244 |
바. 상관견효신지분통(傷官見梟神之憤痛)
|
244 |
사. 상관견겁지통(傷官見劫之痛)
|
245 |
아. 상관견비합창 상관견관지미녕(傷官見比合唱 傷官見官之未寧)
|
245 |
자. 상관봉식 지설모재지상(傷官逢食 智舌謀財之象)
|
245 |
6. 상관의 작용과 통변 |
245 |
가. 상관(傷官) : 비견(比肩)
|
245 |
나. 상관(傷官) : 겁재(劫財)
|
249 |
다. 상관(傷官) : 식신(食神)
|
254 |
라. 상관(傷官) : 상관(傷官)
|
258 |
마. 상관(傷官) : 편재(偏財)
|
263 |
바. 상관(傷官) : 정재(正財)
|
268 |
사. 상관(傷官) : 칠살(七殺)
|
273 |
아. 상관(傷官) : 정관(正官)
|
278 |
자. 상관(傷官) : 효신(梟神)
|
283 |
차. 상관(傷官) : 인수(印綏)
|
288 |
- 응변(應變)의 예(例)
|
|
제5장 편재(偏財) |
294 |
1. 편재론 (욕물欲物 천재天財 부재浮財 천마天馬) |
294 |
가. 원리론 |
294 |
2. 편재의 특성 |
298 |
3. 편재의 배속 |
299 |
가. 인사(人事)
|
299 |
나. 인체(人體)
|
300 |
다. 사물(事物)
|
300 |
라. 학문(學文)
|
300 |
마. 행위(行爲)
|
300 |
바. 명위(命位)
|
300 |
사.인체와 질병
|
301 |
4. 편재과 주역괘상 |
302 |
5. 편재의 통변상 기본원리 |
302 |
가. 편재 생관지희(生官之喜)
|
302 |
나. 편재 생살지외(生殺之畏)
|
302 |
다. 편재가 식신의 생조를 받아 치부한다.
|
303 |
라. 편재가 상관생재로 연결되어 대재를 얻는다.
|
303 |
마. 편재 제효(制梟) 득약지상(得藥之象)이다.
|
303 |
바. 편재 여합문지상(與合文之象) 부모화합지의(父母和合之意)다.
|
303 |
사. 편재 비겁탈재칙(比劫奪財則) 실의 낙백 자살(失意 落魄 自殺)
|
303 |
아. 편재 우겁재(遇劫財) 분복가지(分福可知)
|
303 |
자. 중중(重重)편재 능임치부가지(能任致富可知)
|
303 |
6. 편재의 작용과 통변 |
304 |
가. 편재(偏財) : 비견(比肩)
|
304 |
나. 편재(偏財) : 겁재(劫財)
|
309 |
다. 편재(偏財) : 식신(食神)
|
315 |
라. 편재(偏財) : 상관(傷官)
|
320 |
마. 편재(偏財) : 편재(偏財)
|
325 |
바. 편재(偏財) : 정재(正財)
|
331 |
사. 편재(偏財) : 칠살(七殺)
|
335 |
아. 편재(偏財) : 정관(正官)
|
341 |
자. 편재(偏財) : 효신(梟神)
|
347 |
차. 편재(偏財) : 인수(印綏)
|
353 |
- 응변(應變)의 예(例)
|
|
제6장 정재(正財) |
359 |
1. 정재론 (정득正得 정마正馬 처성妻星 최관성催官星) |
359 |
가. 원리론 |
359 |
2. 정재의 특성 |
361 |
3. 정재의 배속 |
363 |
가. 인사(人事)
|
363 |
나. 인체(人體)
|
363 |
다. 사물(事物)
|
363 |
라. 학문(學文)
|
363 |
마. 행위(行爲)
|
363 |
바. 명위(命位)
|
364 |
사.인체와 질병
|
364 |
4. 정재과 주역괘상 |
364 |
5. 정재의 통변상 기본원리 |
365 |
가. 정재생관지권위(正財生官之權威)
|
365 |
나. 정재생살지권위(正財生殺之權威)
|
365 |
다. 재견인수 고부갈등(財見印綏 姑婦葛藤)
|
365 |
라. 재견식신(財見食神)이면 생산치부(生産致富)
|
366 |
마. 재우효신(財遇梟神)이면 변화불측지사(變化不測之事)
|
366 |
바. 재우비견(財遇比肩)이면 의당용전지사(宜當用錢之事)
|
366 |
사. 재우겁탈(財遇劫奪)이면 명리병탈지환(名利倂奪之患)
|
366 |
아. 정재견상관(正財見傷官)이면 지설지리(智舌之利)
|
366 |
자. 정재견편재(正財見偏財)면 정심변욕(正心變慾)
|
366 |
6. 정재의 작용과 통변 |
367 |
가. 정재(正財) : 비견(比肩)
|
367 |
나. 정재(正財) : 겁재(劫財)
|
372 |
다. 정재(正財) : 식신(食神)
|
377 |
라. 정재(正財) : 상관(傷官)
|
382 |
마. 정재(正財) : 편재(偏財)
|
387 |
바. 정재(正財) : 정재(正財)
|
392 |
사. 정재(正財) : 칠살(七殺)
|
397 |
아. 정재(正財) : 정관(正官)
|
402 |
자. 정재(正財) : 효신(梟神)
|
407 |
차. 정재(正財) : 인수(印綏)
|
413 |
- 응변(應變)의 예(例)
|
|
제7장 칠살(七殺) |
419 |
1. 칠살론 (강권强權 편관偏官 오귀五鬼 고극성孤極星) |
419 |
가. 원리론 |
419 |
2. 칠살의 특성 |
422 |
3. 칠살의 배속 |
423 |
가. 인사(人事)
|
423 |
나. 인체(人體)
|
423 |
다. 사물(事物)
|
423 |
라. 학문(學文)
|
424 |
마. 행위(行爲)
|
424 |
바. 명위(命位)
|
424 |
사.인체와 질병
|
425 |
4. 칠살과 주역괘상 |
425 |
5. 칠살의 통변상 기본원리 |
426 |
가. 희(喜)
|
426 |
나. 기(忌)
|
427 |
①비견적살지위력(比肩敵殺之威力) |
427 |
②겁인제화살지권(劫刃制化殺之權) |
427 |
③식신제살지권위(食神制殺之權威) |
427 |
④극탈교가 생사난변(剋脫交加 生死難辯) |
428 |
⑤욕과생살 밀중지비격(慾過生殺 蜜中之砒格) |
428 |
⑥재생살 과욕재앙(財生殺 過慾災殃) |
428 |
⑦중중가살 굴신난처지화(重重加殺 屈伸難處之禍) |
428 |
⑧관살혼잡 비빈측천(官殺混雜 非貧測賤) |
428 |
⑨살효파록 함정추락(殺梟破祿 陷穽墜落) |
429 |
⑩살인체생 수훈치하지영(殺印遞生 殊勳致賀之榮) |
429 |
6. 칠살의 작용과 통변 |
429 |
가. 칠살(七殺) : 비견(比肩)
|
429 |
나. 칠살(七殺) : 겁재(劫財)
|
434 |
다. 칠살(七殺) : 식신(食神)
|
440 |
라. 칠살(七殺) : 상관(傷官)
|
445 |
마. 칠살(七殺) : 편재(偏財)
|
450 |
바. 칠살(七殺) : 정재(正財)
|
455 |
사. 칠살(七殺) : 칠살(七殺)
|
460 |
아. 칠살(七殺) : 정관(正官)
|
465 |
자. 칠살(七殺) : 효신(梟神)
|
471 |
차. 칠살(七殺) : 인수(印綏)
|
476 |
- 응변(應變)의 예(例)
|
|
제8장 정관(正官) |
482 |
1. 정관론 |
482 |
가. 원리론 |
482 |
나. 음양의 조화로 상극작용 |
482 |
다. 우주의 순환질서와 변화법칙 유지 |
483 |
2. 정관의 특성 |
485 |
3. 정관의 배속 |
486 |
가. 인사(人事)
|
486 |
나. 인체(人體)
|
487 |
다. 사물(事物)
|
487 |
라. 학문(學文)
|
487 |
마. 행위(行爲)
|
487 |
바. 명위(命位)
|
488 |
사. 정관과 건강
|
488 |
4. 정관과 주역괘상 |
489 |
5. 정관의 통변상 기본원리 |
490 |
가. 희(喜)
|
490 |
나. 기(忌)
|
490 |
①관인상생(官印相生) 명리쌍전(名利雙全) |
490 |
②재생정관(財生正官) 가록추작(加祿追爵) |
491 |
③편재추관(偏財推官) 납속진명(納粟臻名) |
491 |
④관여합식(官與合食) 공영기업(公營企業) |
491 |
⑤관다불영(官多不榮) 재다불부(財多不富) |
491 |
⑥정관피상(正官被傷) 낙명손명(落名損命) |
492 |
⑦관살혼잡(官殺混雜) 명욕초앙(名慾招殃) |
492 |
⑧겁능정관(劫凌正官) 명리구손(名利俱損) |
492 |
⑨비견쟁관(比肩爭官) 분복혹외(分福或畏) |
492 |
⑩효탈관위(梟奪官威) 막신공언(莫信公言) |
493 |
6. 정관의 작용과 통변 |
493 |
가. 정관(正官) : 비견(比肩)
|
493 |
나. 정관(正官) : 겁재(劫財)
|
499 |
다. 정관(正官) : 식신(食神)
|
504 |
라. 정관(正官) : 상관(傷官)
|
509 |
마. 정관(正官) : 편재(偏財)
|
515 |
바. 정관(正官) : 정재(正財)
|
520 |
사. 정관(正官) : 칠살(七殺)
|
526 |
아. 정관(正官) : 정관(正官)
|
531 |
자. 정관(正官) : 효신(梟神)
|
536 |
차. 정관(正官) : 인수(印綏)
|
542 |
- 응변(應變)의 예(例)
|
|
제9장 편인(偏印) |
549 |
1. 편인론 (효신도식梟神盜食) |
549 |
가. 원리론 |
549 |
나. 양명지원(養命之源)의 극탈작용 |
550 |
다. 조령모개(朝令暮改)의 변태심 |
551 |
2. 편인의 특성 |
553 |
3. 편인의 배속 |
555 |
가. 인사(人事)
|
555 |
나. 인체(人體)
|
556 |
다. 사물(事物)
|
556 |
라. 학문(學文)
|
556 |
마. 행위(行爲)
|
556 |
바. 명위(命位)
|
556 |
사. 효신과 건강
|
557 |
4. 편인과 주역괘상 |
558 |
가. 천지비괘 |
558 |
나. 구지구사(?之九四) 포무어(包無漁)니 기흉(起凶)하리라
무어지흉(無魚之凶)은 원민야(遠民也)니라.
|
559 |
5. 편인의 통변상 기본원리 |
560 |
가. 희(喜) 신지강왕(身之强旺) 신왕(身旺)
|
560 |
나. 기(忌) 신약탈식(身弱奪食)
|
560 |
①효생비견(梟生比肩) 이복동기(異腹同氣) 쟁권대립(爭權對立) |
561 |
②효생겁재(梟生劫財) 자당유한(慈堂有恨) |
561 |
③편이견식(偏印見食) 궁효견식지화(窮梟見食之禍) |
561 |
④편재제복(偏財制伏) 효신이면 고질득약지상(痼疾得藥之象) |
562 |
⑤효신이 상관 모두 합하면 위화백단(爲禍百端) |
562 |
⑥편인과 정재의 심사숙고 |
562 |
⑦효신가살(梟神加殺)하면 소중도리지상(笑中刀裡之傷) |
563 |
⑧관효농명(官梟弄名)하면 신부절족지해(信斧切足之害) |
563 |
⑨중중효신고극 무의지상(重重梟神孤剋 無依之象) |
563 |
⑩효신에 인수를 맞이하면 악습퇴치가능 |
564 |
6. 편인의 작용과 통변 |
564 |
가. 편인(偏印) : 비견(比肩)
|
564 |
나. 편인(偏印) : 겁재(劫財)
|
570 |
다. 편인(偏印) : 식신(食神)
|
575 |
라. 편인(偏印) : 상관(傷官)
|
580 |
마. 편인(偏印) : 편재(偏財)
|
585 |
바. 편인(偏印) : 정재(正財)
|
591 |
사. 편인(偏印) : 칠살(七殺)
|
596 |
아. 편인(偏印) : 정관(正官)
|
601 |
자. 편인(偏印) : 효신(梟神)
|
606 |
차. 편인(偏印) : 인수(印綏)
|
611 |
- 응변(應變)의 예(例)
|
|
제10장 인수(印綏, 정인正印 섭생攝生) |
617 |
1. 인수론 |
617 |
가. 원리론 |
617 |
나. 생명을 이어받고 이어주는 도(道) |
617 |
다. 진(眞) 선(善) 미(美)적 창조가치 |
618 |
2. 정인(正印)의 특성 |
619 |
3. 정인(正印)의 배속 |
621 |
가. 인사(人事)
|
621 |
나. 인체(人體)
|
622 |
다. 사물(事物)
|
622 |
라. 학문(學文)
|
623 |
마. 행위(行爲)
|
623 |
바. 명위(命位)
|
623 |
사. 인수와 건강
|
624 |
4. 정인(正印)과 주역괘상 |
624 |
5. 인수의 통변상 기본원리 |
626 |
가. 희(喜)
|
627 |
나. 기(忌)
|
627 |
①인생비견(印生比肩) 모정분수(母情分綏) |
627 |
②모생제매(母生弟妹)면 애착하향(愛着下向) |
628 |
③천수회보(天授回報) 생산증식지희(生産增殖之喜) |
628 |
④수진설교(授眞說敎)에 훈육최가(訓育最可)로다. |
628 |
⑤인수가 편재와 합을 이루면 가문이 화평하다. |
629 |
⑥인수와 정재의 모순과 표리부동지상 |
629 |
⑦인수와 칠살은 지용치예지상(智勇致譽之象) |
629 |
⑧인수가 효신과 혼잡되면 용두사미가 된다. |
630 |
⑨중중 인수에 복록가중 |
630 |
6. 인수의 작용과 통변 |
630 |
가. 인수(印綏) : 비견(比肩)
|
630 |
나. 인수(印綏) : 겁재(劫財)
|
635 |
다. 인수(印綏) : 식신(食神)
|
640 |
라. 인수(印綏) : 상관(傷官)
|
645 |
마. 인수(印綏) : 편재(偏財)
|
650 |
바. 인수(印綏) : 정재(正財)
|
656 |
사. 인수(印綏) : 칠살(七殺)
|
661 |
아. 인수(印綏) : 정관(正官)
|
666 |
자. 인수(印綏) : 효신(梟神)
|
671 |
차. 인수(印綏) : 인수(印綏)
|
677 |
-응변의 예 |
|